Showing posts with label Housing.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Housing. Show all posts

Wednesday, September 25, 2013

아파트 단지의 공간 정치

경향신문 대담에서 박인석 교수는 계획당국이 아파트 단지 개발에 무임승차하여 인프라를 확충해온 것을 지적하고 있으며, 박철수 교수는 이와 같은 무임승차가 어떻게 아파트 단지의 울타리 치기로 이어졌는지 설명하고 있다.
박인석 = 아파트 단지 개발은 한국 자본주의 축적체제가 고도화하는 과정에서 다른 문제를 잠재워준 기제였다. 중산층이 늘고 주거환경 욕구 수준은 높아졌지만 공공투자 없이 방치된 도시 환경은 저열한 상태였다. 이 상황에서 나온 것이 단지화 전략이었다. 공공이 투자해야 마땅한 도로, 녹지, 어린이집, 노인정 같은 인프라를 아파트 단지로 만들어 판매하도록 한 것이다. 온 국민이 평생 저축하며 아파트 마련에 힘쓰고 국가는 공공투자 없이 인프라 공급 문제를 해결했다.
박철수 = 아파트는 한국이 각개약진사회의 한복판에 있음을 잘 보여준다. 한국은 공적 기관, 공적 주체, 공공에 대해 신뢰가 없다. 강준만 교수 말대로 한국인은 공적인 부분은 불신하고, 사적인 부분엔 정열을 갖고 있다. 그게 잘 드러나는 게 아파트 단지다. 아파트 단지는 공공이 제공해야 할 모든 시설을 제 돈 주고 구입하는 것이다. 구입한 다음 바로 담장을 둘러치고 차단기로 막아서 아무도 못 들어오게 하는 것이다. 사적 정열의 표상이다.

[책과 삶]“아파트 단지가 문제… 공공성 아닌 집단이익 추구로 민주·평등화 제약” - 경향신문:

'via Blog this'

Wednesday, September 11, 2013

The Threat of Gated Communities

The Retreat at Twin Lakes, where Martin died, is the kind of place where people choose to live when they want to be safe – from crime, from outsiders, from economic uncertainty. Of course, it doesn’t always work that way. By fostering suspicion and societal divisions, the argument goes, gated communities can paradoxically compromise safety rather than increasing it. And because they cut residents off from the larger community, writes Edward Blakely, author ofFortress America, they can “shrink the notion of civic engagement and allow residents to retreat from civic responsibility.”

The Threat of Gated Communities - Sarah Goodyear - The Atlantic Cities:
  • JUL 15, 2013

Thursday, May 23, 2013

수도권 출입통제 아파트단지(100세대 이상)

정보수정날짜: 2013/07/23

*출입통제는 보행자 출입통제를 뜻함

1. 완전출입통제 아파트: 단지 내로 보행자 출입 완전통제. 건물내 출입통제는 해당하지 않음.

서울 강남구
 - 대치동 롯데캐슬 3동 142세대 / 철문
 - 대치동 포스코더샾 4동 276세대 / 철문
 - 삼성동 아이파크 3동 449세대 / 정문에 철문+경비실, 후문에 경비실 (후문에 문이 설치되어 있지는 않으나 외부인 출입 불가)

서울 서초구
 - 방배동 래미안아트힐 10동 588세대 / 대로인접 4동에 유리문
 - 방배동 래미안타워 4동 344세대 / 2동씩 2개로 나뉜 단지에 유리문
 - 방배동 서리풀이편한세상 / 9동 496세대 / 유리문
 - 잠원동 롯데캐슬갤럭시2차 / 8동 428세대 / 철문


2. 부분출입통제 아파트

서울 강북구
 - 수유2동 래미안 / 어린이집으로 통하는 길에 보안문 설치하여 차단
http://blog.daum.net/edys2030/18

서울 서초구
 - 반포동 자이 44동 2991세대 / 출입구마다 외부인 출입금지를 알리는 표지판 설치


3. 완전개방 아파트: 반면 시공사와 관할관청 간의 협의에 의해 단지 옥외공간을 외부인에게 완전히 개방해야하는 아파트도 존재하나 입주민들은 개방에 반대

고양시
- 일산동 유진스웰 2단지 3동 237세대


Sunday, May 19, 2013

Result of internet forum investigation and a thought


It took 4 days for me to scour internet forums dedicated to the gated apartment complex  and to store opinions related to gating. Originally I thought it would be finished within a day but I turned out to be very wrong. There was a surprising amount of exchange on gating in the forum. It would have taken more if I had had access to restricted area of the forum.
The result is a 143 page long word document including images as well as text. There has been extensive talks in the forum on vandalism, measures to protect the apartment complex, execution methods of gating and evaluation of gating.
The main idea that I've got from this extensive information is that Korean planning system of apartment complexes have  problems in harmonizing private and public interests. The apartment complex in question has a central road which can be used as a shortcut for outside residents to use subway and commercial area. Although the public interest of this road could be expected from the design stage, this road was left in the very center of private territory. Unfortunately, the residents couldn't tolerate extra maintenance caused by vandalism of outsiders and increased transit traffic. The result was the first case of gating of a large apartment complex in Korea.
The main culprit of gating in this case seems to be the planning practice of annihilating public roads and to create a super sized private block. No one wants to make detours especially in on foot while the occupiers of super blocks don't want presence of outsiders in their private domain. Allowing super sized private islands can't help creating conflict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Friday, May 17, 2013

Digging deep into internet for research

Today internet is a well recognized research tool. It provides us formal information such as news and journal articles in an instant. What I have overlooked until today was its role as a provider of informal information.

For example, my case study of a gated apartment complex near Seoul was greatly facilitated by the internet. It provided me answers to the initial questions following to my field trip which were not covered by existing formal information. Residents of the gated apartment complex have exchanged voices on gating in internet forums. The forums effectively store remarks of verbal nature by residents and their leaders which would have been soon forgotten in the pre-internet era. The main answers I extracted from the forums are as follows.

Wednesday, May 15, 2013

Municipal reaction to the gated apartment complex

Private ownership has been inviolable in Korean planning tradition and Korean land owners have enjoyed more freedom in altering land than in any other developed country. Thus, the Korean government, municipality and court have maintained laissez-faire attitude regarding to gating of private properties. As long as a property belonged to private entities, the public authority didn't do almost anything against gating.

However, complete gating of an apartment complex did alarm the municipality. A local newspaper reported that the city council had decided to cut financial subsidy to gated apartment complexes. Gating of apartment complexes is in infancy in Korea but growing. Will nationwide gating phenomenon provoke similar reaction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그들만의 세상, 조례로 막자. (Sanctioning "Their Own World" with City Ordinance)
http://www.kmtimes.net/news/articleView.html?idxno=13372

Saturday, May 11, 2013

Observation of a gated apartment complex near Seoul

Date: 2-5 pm, Wednesday, April 24, 2013

Most of the Korean apartment complexes ban non-authorized vehicle access but foot access is usually permitted. However, even the foot access is banned in some apartment complexes, especially smaller ones with less than 5 apartment buildings such as Samseong I-Park in Gangnam District in Seoul.
I went to field trip to observe one of these apartment complexes. The gated apartment complex that I visited is highly unusual because it's quite a big apartment complex having more than 1,000 housing units. Due to its large scale gating, it earned some notoriety from media a couple of years ago. I thought the gating could have been lifted by now but both vehicular and foot accesses are controlled there.

Tuesday, December 4, 2012

저소득층 주거지의 변신 확산

부동산 불경기로 인해 전면재개발이 한계에 부닥침에 따라 근래에 들어 개량재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요즘의 개량재개발에 있어 눈에 띄는 변화는 벽면 채색, 벽화, 조형물 설치 등 동네 이미지를 바꾸기 위한 경관 향상 노력이다. 그리스의 산토리니를 모델로 삼아 많은 저소득층 저층주거지가 알록달록한 색의 옷으로 갈아입었는데, 이러한 변화가 저소득층 아파트 단지로까지 확산되고 있는 것이 놀랍다. (아래 동아일보 사진 참조)


부산 고지대 서민주택지역 “변신은 무죄” (동아일보 2012/12/04)
  

Monday, November 21, 2011

한옥 르네상스

100년간 잠들어 있다가 21세기에 다시 꽃피우는 전통건축. 어떻게 진화되어갈지 기대된다.
준공부문 한옥상 글마루도서관/구가도시건축사사무소 제공 (사진작가 박영채)

살기 편한 한옥, 올해의 한옥은? - Chosunbiz - 프리미엄 경제 파워:

'via Blog this'

Saturday, November 19, 2011

일본 주택정책 변화의 특성에 관한 연구

남원석, 2007
'일본 주택정책 변화의 특성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이후 공영주택정책과 자치체 거주정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논문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 상세보기:

'via Blog this'

Friday, November 18, 2011

As Fewer Buy Homes, Apartment Construction Surges - ABC News

"People who can't afford to buy a home, rent," Champion said. "That's why the apartment market has stayed healthy."

As Fewer Buy Homes, Apartment Construction Surges - ABC News

null

Wednesday, July 20, 2011

주거형태 그리고 투표율

논문주제 탐색을 위한 웹검색을 하다 만난 흥미로운 기사

‘얼굴 없는 시민’은 가난하다 [2010.02.19 제798호]

위 한겨레21 기사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아래 자료이다. 본 자료는 아파트는 고소득층 주거지이고 단독주택은 저소득층 주거지라는 통념을 구체적인 자료(주거형태와 학력간 상관관계)로 입증하고 있고, 더욱 흥미로운 것은 서울에서 투표율이 가장 높은 10개 동네가 모두 거의 전부 아파트로 구성된 동네라는 것이다. (최소 91% 이상) 


Wednesday, June 15, 2011

인간성을 억압하는 규격화된 원룸

유학 시절부터 시작된 나의 집보기. 서울을 포함하여 3개국 3개 도시의 집을 보러 돌아다닌 경험이 있는데 이번처럼 특이한 집보기 경험은 처음이었다. 이번 집보기 경험을 요약하자면 사람이 사는 집을 보는 것이 아니라 마트에서 공산품을 사러 다닌 느낌이었다.

학교 근처에서 자취할 셋집을 구하러 하루 동안 스무군데 정도의 집을 봤는데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모든 원룸의 내부가 똑같았다. 마치 아파트 한 동에서 똑같은 평형대의 집만 층별로 보고 온 느낌이랄까...집 외관과 바깥 환경은 그런대로 기억이 나는데 집 내부로 기억하자면 어떤 집이 어떤 집이었는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Sunday, May 22, 2011

부동산정보업체의 아파트 시세 뒤에 숨은 이야기

닥터아파트, 스피드뱅크 등 부동산정보업체의 부동산 시세를 자주 이용하면서도 그 시세가 어떻게 산출되었나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이들의 시세 산출 방법의 맹점과 실제가격보다 부풀려진 가격형성이 부동산거래 침체를 조장하고 있음을 지적하는 글이 눈에 띈다.

불량사회: 아파트 시세가 조작된다

Friday, May 20, 2011

The first gated community in Korea

The first self-proclaimed gated community in Korea was completed in northern Seoul in 2010. Named as “The Gate Hills”, the small residential community has 16 two-story detached houses within walls and boasts high security that allows no one but the residents into the compound. It is marketed as a manifestation of the housing culture of the upper class wanting protection of privacy. The homepage of the constructor presents gated community as safe and free at the same time, mentioning its American origin - Tuxedo Park in New York.

The Gate Hills (Image from Chosun Ilbo)


Why do I view it as a 'self-proclaimed' gated community? This new development has no amenity reserved for the residents and the very size (16 households) makes me wonder whether it can be qualified as a veritable community. In spite of the inconsistency, it is a significant move in the evolution of Korean housing. There have been a few luxury collective housing compounds controlling both human and vehicular access in Korea, but The Gate Hills seems to be the first individual housing community controlling human access. There are similar projects in other parts of Korea such as Pangyo, new town in the south of Seoul.


For more information, visit the home page (Korean).
To see the photos, read the article of Chosun Ilbo.

Wednesday, May 11, 2011

아파트 단지 내 알뜰장터라는 회색지대

아파트 단지 내 종종 개설되어 간단한 먹거리 등을 파는 알뜰장터. 아파트 부녀회에 자릿세를 지불하고 주거지에서 상행위를 하는 그들을 보고 노점상의 일종이라고 생각하고 다른 노점상과 마찬가지로 불법인 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약간의 조사를 해본 결과 알뜰장터 자체는 불법행위가 아닌 듯하다.


임대료 연체·입주민 반대로 계약 적법해지 알뜰시장업체, 아파트서 상행위 못해 - 수원지법 안산지원 결정

위의 이번달(2011년 5월) 아파트관리신문 기사에 나온 판결을 살펴보면 아파트 알뜰시장이 기업화되어 개별상인이 부녀회와 계약을 하는 것이 아니라 상인을 거느린 기업이 대표로 부녀회와 계약을 맺고 있으며 법원은 이러한 행위를 합법적인 것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 판결에서 다른 흥미로운 점은 아파트 단지 전체가 사유지임에도 불구하고 법원은 아파트 주민이 특정인(본 사건에서 알뜰시장 운영 기업 직원)의 단지 출입을 막을 수 없다고 본 것이다. 이번 판결로만 본다면 최근 일부 아파트 단지에서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는 외부인의 단지 내 출입금지 시도는 불법인데 법원은 어떠한 법리에 의해 이러한 판결을 내렸는지 궁금하다.)


불법의 온상, 아파트 알뜰시장 단속 시급 - 영수증 미발급, 카드결재 불가, 가설건축물, 불법취사, 민원 들어오지 않으면 단속하지 않아, 단속 실적 전무

위의 2010년 인천 연수신문 기사에 따르면 연수구청 역시 각 아파트마다 자체적으로 관리규약을 만들어 알뜰시장을 계약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단속할 이유도, 근거도 없다는 것으로 주택법에 의해 알뜰장터를 합법적 행위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 기사는 알뜰장터가 열리는 과정에는 법의 손길이 거의 미치지 않고 있다는 점도 지적하고 있다. 즉 아파트 부녀회가 알뜰장터 운영주체에게서 거둬들이는 자릿세와 알뜰장터의 상인들이 단지에서 벌어들이는 소득이 파악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세금도 부과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알뜰장터에서 불법취사로 식품을 파는 것은  식품위생법 위반에 해당한다.
 
즉 인천 연수구의 알뜰장터는 법에 의해 허가된 행위이지만 세금미납 등의 문제로 인해 불법행위의 온상이 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와 국세청 등의 관할당국은 불법적 측면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을 보이고 있지 않다는 것으로 상황은 요약이 된다.

광명시, 아파트단지 불법상행위 근절될 때까지 ‘행정조치’ - 알뜰시장 행정지도의 필요성

그러나 2007년 수도일보의 기사를 보면 같은 수도권의 광명시에서는 똑같은 주택법에 의해 알뜰장터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강력한 단속에 나섰고 각 이해관계자의 이해가 엇갈리고 있다.

- 알뜰장터 찬성: 알뜰장터 상인 및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
- 알뜰장터 반대: 아파트 상가 상인 및 아파트 주민, 광명시청

알뜰장터 상인이 찬성하는 이유는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고,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가 찬성하는 이유는 기사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알뜰장터 상인들에게서 거두는 수입을 포기하고 싶지 않을 것이라고 짐작된다.

반대측의 아파트상가 상인은 세금을 내지 않는 알뜰장터 상인에 의해 상권의 침해를 받고 있으며, 아파트 주민은 단지내 대규모 상행위에 의해 주거환경을 침해받고 있어 알뜰장터를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인천 연수구와 광명시 간에 나타나는 견해차는 아직 알뜰장터에 대해 명확히 정립된 견해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로서는 광명시에서처럼 대규모로 운영하여 잡음을 일으키지 않는한 회색지대라고 볼 수 있는 알뜰장터 운영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Thursday, July 8, 2010

Name and house price

There was an interesting study in UK on the relationship of street name and house price. The study found houses on hill, lane, mews, park, and green are more expensive than the ones on street, crescent, court and view. Britons seem to be strongly attracted by greenery considering all the favorite names bear the image of green and countryside. It's no surprise from the land where the Garden City movement originated.


Click here to read the article

In Korea, we also have hills, castles etc but they are names of apartments. These "branded" apartments tend to be more expensive than their counterparts carrying the names of constructors such as Hyundai or Lotte. Branding and naming of Korean apartments is one of the reasons of thier phenomenal success on the peninsular although big name signs all over the apartments are not so pretty to look at.


Thursday, July 1, 2010

임대료보조와 주택바우처

월지원금액이 43000원에서 65000원으로 언뜻보면 작아보이나, 10-20만원 정도의 저렴한 월세방에서 살고 있는 저소득자에게는 결코 작지 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며 갑자기 살곳이 없어진 주택정비사업 철거세입자에게도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단 서울시 정책으로써 서울거주자에만 해당)


월세가 부담된다면, ‘주택바우처’ 신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