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한국어.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한국어. Show all posts

Wednesday, September 25, 2013

아파트 단지의 공간 정치

경향신문 대담에서 박인석 교수는 계획당국이 아파트 단지 개발에 무임승차하여 인프라를 확충해온 것을 지적하고 있으며, 박철수 교수는 이와 같은 무임승차가 어떻게 아파트 단지의 울타리 치기로 이어졌는지 설명하고 있다.
박인석 = 아파트 단지 개발은 한국 자본주의 축적체제가 고도화하는 과정에서 다른 문제를 잠재워준 기제였다. 중산층이 늘고 주거환경 욕구 수준은 높아졌지만 공공투자 없이 방치된 도시 환경은 저열한 상태였다. 이 상황에서 나온 것이 단지화 전략이었다. 공공이 투자해야 마땅한 도로, 녹지, 어린이집, 노인정 같은 인프라를 아파트 단지로 만들어 판매하도록 한 것이다. 온 국민이 평생 저축하며 아파트 마련에 힘쓰고 국가는 공공투자 없이 인프라 공급 문제를 해결했다.
박철수 = 아파트는 한국이 각개약진사회의 한복판에 있음을 잘 보여준다. 한국은 공적 기관, 공적 주체, 공공에 대해 신뢰가 없다. 강준만 교수 말대로 한국인은 공적인 부분은 불신하고, 사적인 부분엔 정열을 갖고 있다. 그게 잘 드러나는 게 아파트 단지다. 아파트 단지는 공공이 제공해야 할 모든 시설을 제 돈 주고 구입하는 것이다. 구입한 다음 바로 담장을 둘러치고 차단기로 막아서 아무도 못 들어오게 하는 것이다. 사적 정열의 표상이다.

[책과 삶]“아파트 단지가 문제… 공공성 아닌 집단이익 추구로 민주·평등화 제약” - 경향신문:

'via Blog this'

Saturday, May 25, 2013

도시개발, 쇠퇴와 연령의 관계

다음 기사는 쇠퇴 지역의 노인비율이 높아지고 신개발지에 젊은이가 몰리는 현상을 잘 보여준다.
강씨는 “주변 이웃 중에 젊은 사람은 없다”며 늙어버린 을지로동의 분위기를 전했다.
서울서 노인인구 비율 가장 높은 곳은 을지로동, 가장 낮은 곳은?
조선일보 | 2013.05.25

Thursday, May 23, 2013

수도권 출입통제 아파트단지(100세대 이상)

정보수정날짜: 2013/07/23

*출입통제는 보행자 출입통제를 뜻함

1. 완전출입통제 아파트: 단지 내로 보행자 출입 완전통제. 건물내 출입통제는 해당하지 않음.

서울 강남구
 - 대치동 롯데캐슬 3동 142세대 / 철문
 - 대치동 포스코더샾 4동 276세대 / 철문
 - 삼성동 아이파크 3동 449세대 / 정문에 철문+경비실, 후문에 경비실 (후문에 문이 설치되어 있지는 않으나 외부인 출입 불가)

서울 서초구
 - 방배동 래미안아트힐 10동 588세대 / 대로인접 4동에 유리문
 - 방배동 래미안타워 4동 344세대 / 2동씩 2개로 나뉜 단지에 유리문
 - 방배동 서리풀이편한세상 / 9동 496세대 / 유리문
 - 잠원동 롯데캐슬갤럭시2차 / 8동 428세대 / 철문


2. 부분출입통제 아파트

서울 강북구
 - 수유2동 래미안 / 어린이집으로 통하는 길에 보안문 설치하여 차단
http://blog.daum.net/edys2030/18

서울 서초구
 - 반포동 자이 44동 2991세대 / 출입구마다 외부인 출입금지를 알리는 표지판 설치


3. 완전개방 아파트: 반면 시공사와 관할관청 간의 협의에 의해 단지 옥외공간을 외부인에게 완전히 개방해야하는 아파트도 존재하나 입주민들은 개방에 반대

고양시
- 일산동 유진스웰 2단지 3동 237세대


Tuesday, December 4, 2012

저소득층 주거지의 변신 확산

부동산 불경기로 인해 전면재개발이 한계에 부닥침에 따라 근래에 들어 개량재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요즘의 개량재개발에 있어 눈에 띄는 변화는 벽면 채색, 벽화, 조형물 설치 등 동네 이미지를 바꾸기 위한 경관 향상 노력이다. 그리스의 산토리니를 모델로 삼아 많은 저소득층 저층주거지가 알록달록한 색의 옷으로 갈아입었는데, 이러한 변화가 저소득층 아파트 단지로까지 확산되고 있는 것이 놀랍다. (아래 동아일보 사진 참조)


부산 고지대 서민주택지역 “변신은 무죄” (동아일보 2012/12/04)
  

Monday, February 20, 2012

가든파이브 입주 청계천 상인과의 인터뷰

청계천 복원사업은 개인적으로 한국 도시계획 프로젝트 중 가장 성공한 사업 중 하나라고 생각하며, 복원사업을 추진했던 이명박 서울 시장의 대통령 당선은 많은 국민들도 청계천 복원사업을 높이 평가했음을 보여준다. 청계천 복원사업에 대한 높은 평가는 국내에 그치지 않는다. 내가 유학했던 프랑스를 예로 들면 2010년 봄에는 일드프랑스 도시계획연구소에서 청계천의 고가도로 해체 사례를 공부하기 위해 연구원을 파견하였고, 올해에는 파리 소르본 대학교에서 지리학을 공부하는 한 석사과정 대학원생이 논문 주제로 청계천을 선택하여 서울에 왔다.

그는 나를 통해 청계천 상인들 중 일부는 가든파이브로 터전을 옮겼다는 것을 알게 됐고, 신문지상을 통해 가든파이브 소식을 많이 들었지만 직접 그곳에 가보지 못했던 나는 지난 토요일에 그를 동행하게 되었다. 인터뷰는 계획하지 않고 갔으나 질문 한 가지에 상세하게 많은 것을 알려주셨던 청계천에서 가든파이브로 옮겨오신 사장님 덕분에 뜻하지 않은 인터뷰가 이루어져서 프랑스 학생 뿐만 아니라 나도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이 분의 이야기는 아름답게 복원된 청계천과 초현대적 가든파이브의 화려한 외면 뒤에 가려진 곪고 있는 청계천 이주 상인의 상처에 대한 것이다.

장지역 가든파이브 입구


Wednesday, November 23, 2011

잠실 롯데 세상 (Lotte World!)

잠실역은 롯데역으로 불러야할 정도로 롯데 관련 시설로 둘러싸인 매우 독특한 공간이다. 개발 후 적정한 입주자에게 분양하거나 세를 주는 다른 대형상업시설과는 달리 잠실역 롯데타운은 롯데가 소유하고 롯데계열사만 존재한다.

다음 지도는 BatchGeo로 만들어본 잠실 롯데타운 주변 커피체인(롯데 엔젤리너스, 스타벅스, 커피빈, 카페베네) 분포. 롯데월드와 롯데캐슬을 포함하는 롯데타운 내의 커피숍 영업은 엔젤리너스가 장악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현재 빈땅인 제2롯데월드 완공 후에는 9ha에 가까운 광활한 공간도 빨간 풍선만으로 뒤덮일 것으로 예상된다. (카페베네 1개 점포가 예외적으로 롯데월드 지하상가에서 영업하고 있다. 지도를 줌아웃하면 송파구 전체의 분포를 볼 수 있다.)


View 잠실 롯데타운 주변 커피체인 분포 in a full screen map

잠실에는 맥도널드가 없다

단일 사기업의 도심공간지배로 인해 일반인은 잠실역 주변에서 스타벅스와 맥도널드에 갈 수 없는 불편을 겪고 있고, 롯데타운 내 상인들은 롯데에 의해 생존권이 결정되는 아픔을 겪고 있다.
"롯데그룹이 서울 잠실에 대규모 ‘롯데타운’ 조성을 추진 중인 가운데, 롯데쇼핑이 잠실 롯데월드쇼핑몰에 세들어 있는 상인들을 모두 철수시키려고 해 입점 상인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서 파장이 예상된다."
롯데쇼핑, 일방적 임대차 계약해지 속내는?

Monday, November 21, 2011

한옥 르네상스

100년간 잠들어 있다가 21세기에 다시 꽃피우는 전통건축. 어떻게 진화되어갈지 기대된다.
준공부문 한옥상 글마루도서관/구가도시건축사사무소 제공 (사진작가 박영채)

살기 편한 한옥, 올해의 한옥은? - Chosunbiz - 프리미엄 경제 파워:

'via Blog this'

Saturday, November 19, 2011

일본 주택정책 변화의 특성에 관한 연구

남원석, 2007
'일본 주택정책 변화의 특성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이후 공영주택정책과 자치체 거주정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논문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 상세보기:

'via Blog this'

Thursday, July 21, 2011

투자유치지역 조성에 있어 물리적 개발의 한계

"빌딩부터 짓고 보자" 설익은 금융허브… 글로벌 기업 한 곳도 안 와

위의 조선일보 기사는 서울과 부산에 진행되고 있는 국제금융허브계획이 구호에만 그치고 유치실적은 전무에 가깝다는 내용으로, 하루가 멀지 않고 올라오는 땅만 파헤치는 개발계획에 대한 기사 중 하나이다. 작년에 송도국제신도시와 프랑스의 Sarclay 테크노폴리스 조성을 관찰하면서 든 생각인데 국제투자유치에 있어서 초현대식 건물, 편리한 대중교통, 첨단IT인프라 등 물리적 투자와 세금감면 등의 재정지원은 부차적 유인책 밖에는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서울과 부산에 진행중인 금융허브 (출처: 조선일보)

Wednesday, July 20, 2011

주거형태 그리고 투표율

논문주제 탐색을 위한 웹검색을 하다 만난 흥미로운 기사

‘얼굴 없는 시민’은 가난하다 [2010.02.19 제798호]

위 한겨레21 기사에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아래 자료이다. 본 자료는 아파트는 고소득층 주거지이고 단독주택은 저소득층 주거지라는 통념을 구체적인 자료(주거형태와 학력간 상관관계)로 입증하고 있고, 더욱 흥미로운 것은 서울에서 투표율이 가장 높은 10개 동네가 모두 거의 전부 아파트로 구성된 동네라는 것이다. (최소 91% 이상) 


Wednesday, June 15, 2011

인간성을 억압하는 규격화된 원룸

유학 시절부터 시작된 나의 집보기. 서울을 포함하여 3개국 3개 도시의 집을 보러 돌아다닌 경험이 있는데 이번처럼 특이한 집보기 경험은 처음이었다. 이번 집보기 경험을 요약하자면 사람이 사는 집을 보는 것이 아니라 마트에서 공산품을 사러 다닌 느낌이었다.

학교 근처에서 자취할 셋집을 구하러 하루 동안 스무군데 정도의 집을 봤는데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모든 원룸의 내부가 똑같았다. 마치 아파트 한 동에서 똑같은 평형대의 집만 층별로 보고 온 느낌이랄까...집 외관과 바깥 환경은 그런대로 기억이 나는데 집 내부로 기억하자면 어떤 집이 어떤 집이었는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Sunday, May 22, 2011

부동산정보업체의 아파트 시세 뒤에 숨은 이야기

닥터아파트, 스피드뱅크 등 부동산정보업체의 부동산 시세를 자주 이용하면서도 그 시세가 어떻게 산출되었나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이들의 시세 산출 방법의 맹점과 실제가격보다 부풀려진 가격형성이 부동산거래 침체를 조장하고 있음을 지적하는 글이 눈에 띈다.

불량사회: 아파트 시세가 조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