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December 21, 2010

송도의 현재와 미래 - 송도 신도시가 인천 구도심 쇠퇴에 가져올 영향

프랑스의 연구소에서 서울 디지털 미디어 시티와 인천 송도 신도시를 연구하고 있으며 지난 12 16일에는 연구소 내에서 연구의 중간성과를 발표하는 자리가 있었다. 내가 속한 부서인 도시계획 건축 부서장님도 오셨는데 발표 질문으로 송도 신도시가 한국의 낮아진 경제성장률과 인구정체, 주변 지역으로부터의 인구흡수로 인해 문제가 생길 같다는 예리한 분석을 하신 것이 계기가 되어 송도의 미래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미국과 네덜란드 회사가 설계한 서구식 도시디자인과 랜드마크 타워들로 겉모습은 화려해보이는 송도가 현재 당면한 시급한 문제는 자금난이다. 부동산 개발에 의한 수익으로 신도시 개발 자금을 마련하는 것이 당초의 계획이었는데 금융 위기 전에는 한껏 달아올랐던 송도의 부동산 열기가 위기 후에는 전국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냉기만 돌고 있고 자금문제로 인해 애로를 겪고 있는 것이다.  68층으로 현재 전국 최고높이의 빌딩이라는 동북아 트레이드 타워는 공사비 미납으로 인해 수개월간 공사 방치된 상태에 있다가 10월부터 공사가 다시 진행되었고, 완공 151층의 세계 2위의 초고층 건물이 것이라고 했던 인천타워는 부동산 경기 등을 이유로 100층으로 낮추어졌고 추진여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여기에다 송도신도시를 추진한 안상수 시장이 인천 구도심 재개발을 공약으로 송영길 시장으로 교체되면서 예전과 같은 시의 지원을 기대하기도 힘들어졌다.

Wednesday, September 8, 2010

L’Haussmannisme de nos jours : la redécouverte d’un mode urbain

Hee Seok KIM (2005), L’Haussmannisme de nos jours : la redécouverte d’un mode urbain, Mémoire, Paris

J'ai pensé pendant longtemps que mon mémoire de maîtrise s'est anéanti dans l'oubli. J'ai essayé de le trouver dans des sites de bibliothèques universitaires mais je n'ai pu le trouver pendant des années. Il y a quelques semaines, je suis devenu au courant du Catalogue SUDOC et je l'ai enfin trouvé.

Aujourd'hui j'ai corrigé des erreurs orthographiques et de grammaire du mémoire et l'ai mis téléchargeable. Cliquez le titre du mémoire pour le télécharger. (10,5MB)

J'espère que quelqu'un le cite dans son oeuvre!

Monday, September 6, 2010

도시계획법제 개편에 관한 연구

최병선, 신동진, 김영환 (1994), 도시계획법제 개편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상당히 오래된 연구이지만 학교도서관에서는 도시계획법 개편에 관한 다른 연구를 찾을 수 없어, 읽어본 책이다. 본 연구에서 권고한 내용이 정책으로 직결되어 도시계획법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그 당시에 문제점으로 여겨졌던 한국 도시계획법의 문제점이 15년이 넘게 지난 요즘에도 계속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준 연구이다.

다른 연구서와 달리 본문이 개조식으로 정리되어 있어 요점 요약은 편하지만 내용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에는 방해가 된다. 부록에는 서울대 김기호 교수님의 연구가 서술식으로 실려있는데 공감되는 부분을 인용한다.

<도시/건축 법률체계 개편을 위한 연구>

우리나라의 신도시에서는 도시개발사업과 도시계획만 존재하고 있으며 건축은 존재하고 있지 못하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기존 도시의 도심지역에서는 반대로 건축은 존재하고 있지만, 도시계획은 실종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우리나라 도시를 걷다보면 한국이야말로 건축가의 천국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요즘에는 건축물 미관심의가 있다고 하나 여전히 한국에서는 용적률과 건폐율만 법을 따른다면 건축가는 옆 건물을 고려하지 않고 어떤 모양과 색깔의 건물이라도 세울 수 있는 것 같다. 특히 서울 강남에 가보면 현대건축 전시장이라도 되는 것처럼 정말 각양각색의 건물이 들어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문제는 개별 건물은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을지 모르나 이러한 각양각색의 건물을 모아놓은 거리풍경은 통일성에 비해 개성만 너무 강조되어 있기 때문에 그다지 아름답다고 할 수 없다는 것이다. 현대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는 미술작품을 하나하나 보면 아름답다고 할 수 있지만 각기 다른 작가의 작품을 무작위로 모아놓고 전체를 본다면 결코 조화로울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이와는 반대로 한국의 아파트 단지는 각 주동의 개성은 전혀 존재하지 않고 통일성만 존재하기 때문에 지루해보이고 도시경관 파괴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즉 한국에서는 아파트 단지 내에는 건축가가 개입할 여지가 전혀 없다시피하고, 그외의 시가지에서는 도시계획이 건축물의 부피는 규제하지만 모양과 색채는 건축가와 건축주의 자유방임에 맡기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서울 북촌 등의 전통시가지를 제외하면 통일성과 개성이 조화를 이룬 시가지를 찾기 힘들고 아름답지 못하다라는 지적이 국내외에서 나오고 있는 것이다.

조화로운 거리 풍경 조성을 위해서는 부피 규제 이외에 기존 건물과의 조화, 거리 전체의 경관을 고려한 건축양식 규제가 필요하고, 아파트 단지 조성시에는 여러 건축가의 참여를 의무화시켜 주동의 디자인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Friday, July 23, 2010

My planning internship in Paris

I had some good news this week. French Institute in Seoul told me that I would work in the Institute of Urban Planning of Ile-de-France (IAU IDF) in this fall. It is a government institution which is specialized in the study of urban planning of Paris and its surrounding area (Ile-de-France). I wanted to do an internship there when I was a student in Paris years ago. However, I couldn't dream of working there at that time with my insufficient experience. This year I originally wanted to work in the City Hall of Paris but the IAU must be a better alternative than the original.

I will work for three months from Oct 1, 2010 and be given two main missions. According to my wishes, the first mission is about analyzing Local Planning Documents (Plan Local d'Urbanisme) of various communes in Ile-de-France including those of Paris. I am greatly interested in how urban planning is established and executed at local level in France. From the French practice, I would like to propose decentralization of urban planning system in South Korea whose planning system is very centralized.

The second mission is about my country. The IAU currently studies Science Cities. They try to benchmark reknowned Science Cities in the world. They finished their work on Europe in 2009. This year it's the turn of Asia: Singapore and Seoul. I'm both excited at Seoul's nomination and the possibility of my contribution in the study.

The turn of events confirms somehow my decision of studying in Seoul rather than continuing it in Paris. However you are international or cosmopolitan, you can't detach yourself from your root and you should understand your root first.

Tuesday, July 13, 2010

Zotero, a convenient referencing tool

Referencing is almost an art when writing an academic paper. As scholars all over the world continuously contribute to the accumulation of human knowledge, you always have a lot to read before producing your own contribution. Managing and mentionning the reading list is a cumbersome but unavoidable task in the process.
There are many softwares to make the task easy but Zotero is one of a kind. It has some nice time and typing saving features.

1. Zotero collects bibliographical information automatically from library or bookstore sites. You don't need to worry about typing in titles of books and author names which often have difficult spellings. Unfortunately it doesn't seem to work well for non English bibliography. However, it does record the site that the bibliographical information is collected, so it's still useful for bibliographical collection in other languages.

2. Zotero saves the information collected and you can search your huge booklist with ease. You can even link your bibliography to your e-documents in hard disk. Thus you can search and read your pdf almost instantly.

3. Zotero exports your bibliography to your academic paper in official referencing format. You don't need to worry about typing them all!

The only shortcoming is that the program is not standalone. You should execute Firefox first to use it and my Firefox seems somewhat unstable after installing Zotero.

Zotero Home
조테로 한글 가이드와 몇 가지 팁

Monday, July 12, 2010

우리 동네, 난곡 - 그 많던 이웃 사촌은 어디로 갔나?

오마이뉴스 난곡그후 취재팀이 만든 이 블로그는 난곡 재개발 지구의 원주민의 삶을 심층취재한 블로그이다. 2008년 6월에서 2009년 2월까지 200개가 넘는 기사가 올라와있는데 모두 발로 뛴 노력에서 나온 값진 노력의 산물이다.

이 블로그에는...

재개발에 치여 계속 변두리로 밀려나야하는 돈없는 세입자의 사연
"또 짐 싸?", 난곡에서도 쫓겨났는데...
“4000~4500 하던 집이 금방 1억 해요. 돈 있으면 사지요. 저렇게 하면 돈 버는구나, 돈 버는 방법은 알겠는데 돈 없으니 어쩌겠어요. 눈 뜨고 당하는 거지요”

남들이 보기에는 철거해야할 불량주택촌이지만 애착을 가지고 살아가는 주민들의 사연
아슬아슬 생활 터전, "계속 살게 해주세요." -난향동 산93-1번지 난곡 원주민의 소원
“나는 이곳이 너무 좋아서 살아요. 산 밑이고, 복지관 앞이니 혜택도 좋고. 공기도 좋고. 나는 좋아서 여기 살고 있고 죽을 때까지 여기 살고 싶어요.”

달동네 대신 들어선 영구임대아파트의 비싼 관리비를 감당 못하는 사연
"월세에 관리비까지, 임대아파트도 벅차다" 난곡 세입자들에게 주공이 던져 준 '빛 좋은 개살구'
“넓고, 화장실 있고, 지저분한 벌레 없고 환경이야 너무 좋죠. 남 보기도 좋고. 그런데 아무래도 돈이 부담이에요. 매달 내는 관리비.”

이 밖에도 화려한 재개발 아파트 뒤에 사라져버린 우리 이웃들의 이야기가 그들의 목소리 그대로 올라와있다. 기사의 질이 높은 덕택에 댓글도 많이 달려있는데 댓글을 통해 재개발 찬성과 반대로 극명히 나뉘는 사람들의 생각도 엿볼 수 있다.

Thursday, July 8, 2010

Name and house price

There was an interesting study in UK on the relationship of street name and house price. The study found houses on hill, lane, mews, park, and green are more expensive than the ones on street, crescent, court and view. Britons seem to be strongly attracted by greenery considering all the favorite names bear the image of green and countryside. It's no surprise from the land where the Garden City movement originated.


Click here to read the article

In Korea, we also have hills, castles etc but they are names of apartments. These "branded" apartments tend to be more expensive than their counterparts carrying the names of constructors such as Hyundai or Lotte. Branding and naming of Korean apartments is one of the reasons of thier phenomenal success on the peninsular although big name signs all over the apartments are not so pretty to look at.


Thursday, July 1, 2010

임대료보조와 주택바우처

월지원금액이 43000원에서 65000원으로 언뜻보면 작아보이나, 10-20만원 정도의 저렴한 월세방에서 살고 있는 저소득자에게는 결코 작지 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며 갑자기 살곳이 없어진 주택정비사업 철거세입자에게도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단 서울시 정책으로써 서울거주자에만 해당)


월세가 부담된다면, ‘주택바우처’ 신청하세요

Wednesday, June 30, 2010

국격향상을 위한 국토경관 관리전략

경관을 국가의 품위와 연관시켜 바라본 점이 흥미로우나 내용이 너무 간략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위상이나 경제력에 비해 경관수준이 낮은 실정이며, 국가품격 및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국토경관 관리전략 수립이 필요한 상황임"

국토연구원 국토정책 6월호
http://www.krihs.re.kr/data/cur_brief/Brief_283.pdf

Friday, June 11, 2010

Maps that show the most photographed parts of every city

Today's technology gives us the insight to things in a way almost unthinkable years ago. These maps of the most photographed parts of cities are very interesting to look at for planners.



Click here to see the article

Saturday, May 15, 2010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Wow, I know the second author (Lim). She's in my urban regeneration class!

기성주거지 공간관리수요변화에 대응하는 정비방식 다양화 방안

서수정; 임유경,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출처: AURIC


제1장 서론. 지금까지 대규모 아파트단지형 정비방식은 토지이용에 대한 밀도관리, 부족한 기반시설 확보라는 기성주거지의 당면과제와 제한된 공공재원, 경제성, 시장성을 고려할 때 가장 현실적인 주거지 관리방안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아파트단지 위주의 전면철거방식은 필지와 가로공간이 미세하게 연계된 기성주거지 공간조직을 대규모 블록으로 대체함으로써 폐쇄적인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원인이 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성주거지 공간관리가 장래 변화하는 사회경제적 구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주민의 자력에 의한 정비의지를 저하시킬 뿐 아니라 지역주민의 주거안정을 제한한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규모 주거지 정비과정에서 발생하는 이해관계자들간의 갈등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재개발 정비예정구역 해제를 요구하고 있어 대규모 정비방식에 대한 한계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응하여 국가에서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현지개량사업의 일환으로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시범사업을 비롯하여 소규모 블록단위 정비방식인 도시형생활주택 시범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범사업은 대규모 국고지원이나 공공주도의 계획적 관리와 전문가 지원이 결합된 사업으로 일반적인 정비수단으로 정착하지는 못하고 있다. 더욱이 다양한 환경과 사회경제적 여건을 갖는 장소특성에 따라 선택 가능한 실천수단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물리적 정비수단과 결합된 제도적, 재정적 지원 방안 등에 대한 수단이 미흡하여 정비사업에 거주자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성주거지의 물리적 특성인 소필지 밀집형 도시공간구조를 유지하면서 지역주민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라 점진적이고 지속가능한 정비가 진행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실천수단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실현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Friday, May 14, 2010

Insurgent history of planning


Leonie Sandercock gave me the name of the blog. I found her in my planning history course lectured by Professor Sofia Shwayri. This planning history course is very much different from others. Unlike conventional planning history courses studying white male planners such as Ebenezer Howard, Le Corbusier and Clarence Perry, this course is about the planning history from the perspectives of women, ethnic minorities and homosexuals.
Sandercock may be the central figure of this movement and she named it as 'insurgent history of planning'. And voila my blog 'Insurgent City'! As the name implies, I would try to be critical to cities and planning today through the blog.

Thursday, May 13, 2010

First message

I've been thinking to set up a blog on my passion – urban planning - for quite a long time. I just didn't have enough courage to create one with the fear of abandoning it too quickly. I created one today with some pressure from my professor. Pressure and stress are good. Not many things will happen without them. J